본문 바로가기

섬유학5

**주요 원단의 특징 (5) - 표면 이랑이 있는 원단 제5절 표면에 이랑이 있는 원단 1. 개버딘 조직 : 사문직 소재 : 견,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면, 모, 비닐론, 아크릴 사문선이 위사 방향에 대하여 45° 이상이 되도록 경사 밀도를 많게 한 3/1 급사문이라던가 2/2, 2/1 등의 정칙사문으로 제직한다. 중세기에 사용하던 망토, 외투라는 뜻이며 경사 밀도를 위사 밀도보다도 2배 이상 현저히 많게 하기 때문에 정사문으로 제직하여도 능선은 급한 각도로 나타난다. 표면에서는 능선이 강하게 부출하여 보이지만 이면에서는 표면만큼 능선이 확실하게 서지 않는다. 약칭하여 개버라고도 한다. - 용도 : 신사복, 외투, 여성복, 아동복, 슬랙스, 레인코트, 승마복, 신발 천감, 더스터, 운동복, 제복 등 2. 그로스그레인 조직 : 경무직 소.. 2023. 6. 14.
**주요 원단의 특징 (3) - 얇고 투과하여 보이는 원단 제3절 얇고 투과하여 보이는 원단 1. 니농 조직 : 평직 소재 : 견, 레이온, 아세테이트 특히 얇은 직물이다. 견 니농은 조직 사용하는 실, 중량, 폭, 길이 등 모두 시폰 과 같으나 시폰이 정련하지 않고 생지인 채로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니농은 제직 후 반드시 정련하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촉감이 낭찰낭찰하고 시폰과 같이 딱딱하 지 않다. 무지 외에 평사라던가 제사로써 경사 줄무늬라던가 격자를 나타내는 것 등이 있다. - 용도 : 이브닝 드레스, 스카프, 머플러, 모자 장식 등 2. 디미터 조직 : 평직 소재 : 면, 폴리에스테르, 린넨 얇고 올이 성기어 투과하여 보이는 직물이다. 촉감은 딱딱하고 부드러운 광택이 있다. 반드시 세로 줄무늬라던가 격자상으로 평평한 이랑이 짜여져 있다. 바닥실과 같은 .. 2023. 6. 13.
**주요 원단의 특징 (2) - 광택이 있는 원단 제2절 광택이 있는 원단 1. 새틴 원단 조직 : 주자직 소재 : 견, 면,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세테이트, 비닐론 조직명암과 더불어 직물명도 있다. 일본어의 주자는 면, 스프 주자도 포함하고 있으나 영어의 Satin은 견, 합성 장섬유의 주자와 그의 교직인 주자만을 가리킨다. - 용도 : 칵테일 드레스, 이브닝, 굿숀, 모피오버의 안감, 복지 안감, 리본, 가운, 아동복, 방석 등 2. 비니션 원단 조직: 주자직 소재 : 면,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아세테이트, 모 면 비니션은 보통 실켓트 가공을 한 단사라던가 쌍사로 제직 한다. 조직은 5 매라 던가 8매의 경주자이다. 직물면에는 급한 사문선(주자선)이 나타나 보인다. 백색인 채로 또는 무지염, 날염하여 사용한다. 촉감은 매끄럽고 튼튼한 .. 2023. 6. 13.
**주요 원단의 특징 (1) - 주름과 축이 있는 원단 제1절. 주름과 축이 있는 원단 1. 면크레이프 원단 조직 : 평직 소재 : 면, 레이온 양쪽 축과 한쪽 축이 있다. 양쪽 축은 경사에 32'S 정도의 보통 단사, 위사에는 20'S 정도의 단사로 강연(30TPI)을 준 것을 사용한다. 좌연과 우연 2올씩 교호로 타입하고 평직으로 제작한다. 제직 후 주름 부여를 한다. - 용도 : 여름철 내의, 슬리브, 네글리제, 홈웨어, 블라우스, 원피스. 2. 모스크레이프 원단 조직 : 이지직 소재 :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낡은 비로드와 같은 외관의 직물로써 경위사에 제연사를 사용한다. 조직은 사문 또는 주자의 유도 조직이 많이 이용된다. 경위 모두 표면으로 길게 부출 되지 않도 록 사문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불규칙하게 조직 점을 배치한 것이다. .. 2023. 6. 13.
제1장 섬유소재 개론 제1절 섬유 섬유라는 용어는 문헌에 의하면 물체의 굵기가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서 극히 가늘고 긴 모양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총칭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므로, 이 정의에 따르면 섬유의 종류는 무한히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의류소재로서 이용되는 섬유에는 어떠한 종류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떠한 기준으로 사 용해 왔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의류용 섬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있어서나 현재에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섬유에 대한 인식은 가늘고 긴 물질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가늘고 길다"라는 의미는 상대적인 뜻을 가지므로 어떠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면 안된다. 섬유는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긴 물질이므로 직경과 길이와의 비에 의 하여 "가늘고 길다"라고 하는 의.. 2023.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