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절 표면이 거친 원단
1. 노일클로스
조직 : 평직, 사문직
소재 : 견,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면
단순히 노일 이라고도 한다. 경위사에 주방사라던가 견방주사를 사용하여 제직한 것이다. 제직사의 번수는 17'S~36'S 정도이다. 스프 혼방한 것을 사용한 것이라던가 경사에 인견사라던가 스편 레이온을 사용한 것, 면 매듭사를 사용한 것 등도 있다. 직물면에 주사 특유의 매듭이라던가 반이 나타나서 소박한 무늬가 있다.
노일이라고 하는 것은 견방공정 중에 생기는 단섬유를 가리킨다. 주방사라던가 견방주사 등에는 노일이 원료 중에 포함되어 있고 또 노일이 갖는 느낌이 직물의 특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직물의 명칭으로 한 것이다.
무지염, 사염의 무늬, 날염한 것 등이 있다.
- 용도 : 투피스, 블라우스
2. 도니골
조직 : 평직, 사문직
소재 :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면, 아크릴
원래 아이리쉬 트위드라고 불려져 아일랜드 빈농의 부업으로써 제직된 것이다.
아이리쉬 양모를 수방하여 방적한 방모사를 사용하여 수직기로써 2/2 능으로 제작하여 왔다. 제직사는 섬도가 가지각색인, 늘어져 처진 매듭이 많기 때문에 늘어져 처진 매듭도 여러 가지이다. 제직사의 섬도 불균일이나 이색의 늘어져 처진 매듭은 당연히 직물면에도 나타나 촌스러운 느낌을 부여하고 있다.
현재의 것은 이러한 수직의 모직물을 모방한 제품이다. 방적공정 중에 통상 경사 에는 백색, 위사에는 청색, 녹색, 적색, 황색 등의 색상이 있는 늘어져 처진 매듭이 만들어지도록 각각의 색상으로 염색한 양모 섬유를 방적하여 만든 태번수 상사를 사용한다.
- 용도 : 운동복, 여성용 오버, 슈트 등
3. 라티누
조직 : 평직, 사문직
소재 :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면, 견,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장식사의 명칭임과 더불어 그러한 장식사로 제직한 직물의 명칭도 있다.
직물의 라티누는 위사라던가 경위사의 양쪽에 라티누사, 쇄사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밀도 는 성겨서 투과하여 보인다.
라티누사 독특한 거칠고 큰 매듭이 한 면으로 나타나서 해면과 같이 보인다. 촉감은 부드럽고 두껍게 느껴진다. 표백, 무지염 또는 날염한다.
면제품은 스폰지 클로스라고도 한다.
- 용도 : 드레스, 블라우스, 코트, 신사복, 커튼 등
4. 샨퉁
조직: 평직
소재 : 견, 인견,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면, 모, 비닐론, 아크릴
원래는 작잠견으로 제직한 직물이었다. 현재는 위사에 매듭사를 넣어서 제직하여 작사를 사용한 것과 같은 외관과 촉감을 가지게 한 것이다. 얇은 것, 두꺼운 것 이 있다. 슬럽 등 불규칙한 표면에서 오는 바삭거리는 질감·독특한 광택·립 효과가 특징이다.
1880년경에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져 유럽에서도 사용되었다. 촉감은 까실까실하고 차갑다.
- 용도 : 정장바지,칵테일 드레스, 다운웨어, 블라우스, 스포츠웨어, 커튼
5. 인디언헤드
조직 : 평직
소재 :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면
경위사에 양질의 태번수 단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한다. 바닥은 두껍고 성긴 밀도로써 제직사의 섬도 반이 나타나 보이고 일종의 독특한 품격을 구비하고 있다.
표백하기도 하고 무지염 또는 날염하기도 한다. 통상 실켓트 가공을 시행한다. 약간 두터움이 피부에 끈적거리지 않고 산뜻한 감촉의 것으로써 초여름으로부터 여 름에 걸친 의류에 좋다.
- 용도 : 스커트, 원피스, 투피스, 아동복, 스포츠웨어, 커튼
6. 폰지
조직 : 평직
소재 : 견(작사, 생사), 면
원래 중국의 산둥 지방에서 토산 야잠견으로부터 수방한 실로써 제직한 수직의 거친 직물이다. 견 폰지는 견주라고도 한다. 경위사를 작잠사로 제직한다. 갈색이라 던가 청색 또는 황갈색의 무지물이 많다. 실의 곳곳에 매듭이 있기 때문에 직물면에도 이것이 나타나서 폰지 특유의 외관을 나타낸다. 촉감은 까실까실하여 차갑다.
매듭이 없고 치밀하며 표백이 충분하여 색상이 크림으로 되어 온화한 광택이 있는 것이 상품이다.
- 용도 : 다운웨어, 블라우스, 파자마, 커튼, 슬리브, 침장용, 안감 등
7. 트위스
조직 : 사문직, 평직
소재 : 견, 레이온, 아세테이트, 린넨, 라미, 면, 모, 비닐론, 아크릴
트위드는 홈스편에 아주 근사한 방모직물로써 경위사에 태번수의 실을 사용하여 2/2층으로 제직한다. 바닥은 두껍고 외관, 조직, 촉감 모두 거칠고 튼튼한 직물이다. 홈스편이 평직인 것에 대하여 트위드는 능직인 점이 다를 뿐 사용하는 실, 외관, 촉감은 아주 근사하고 트위드라고 불려지는 것에 평직인 것이 적지 않다.
모직물 트위드는 모두 제지한 후 약간 축용하여 수세, 건조 후 전모, 증융 및 압융하여 소위 트위드 마무리를 한다. 이렇게 하면 줄무늬라던가 조직점이 희미하지 않고 비교적 확실하다. 광택을 없앤 권축 비스코스 스프나 아세테이트 스프의 트위드 외에 아크릴의 합성섬유를 모라던가 레이온 스프를 혼방한 것을 이용한 제품도 생산되고 있다.
- 용도 : 신사복, 리조트 풍의상의, 스커트, 드레스, 바지, 운동복 등
8. 홈스펀
조직 : 평직
소재 : 견, 레이온, 아세테이트, 린넨, 라미, 모, 아크릴
원래 수방한 섬도가 불균일한 굵은 방모사를 사용하여 거칠게 평직으로 수직기로 제직하여 축용하지 않고 마무리한 방모직물로써 소박한 풍격이 있는 직물이었다. 현재는 수방사를 모방하여 섬도를 불균일하게 하여 우아한 맛을 가지게 방적한 태번수의 기계방적사를 이용하여 역직기로서 제직한다. 제직사는 보통 톱 염색이라던가 사염으로 한다. 이색으로 염색한 동아리 모를 혼방하여 어떻게든 수방, 수직과 같은 맛을 나타낸 것이다.
- 용도 : 여성 코트, 신사복, 운동복, 아동복, 창문 가리개, 가구 덮개, 모자 등
'Fashion story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원단의 특징 (8) - 표면에 모양이 있는 직물 (0) | 2023.06.17 |
---|---|
**주요 원단의 특징 (7) - 표면에 잔털이 있는 원단 (2) | 2023.06.16 |
**주요 원단의 특징 (5) - 표면 이랑이 있는 원단 (3) | 2023.06.14 |
**주요 원단의 특징 (4) - 두껍고 치밀한 원단 (1) | 2023.06.14 |
**주요 원단의 특징 (3) - 얇고 투과하여 보이는 원단 (3)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