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광물섬유 (Mineral Fibers) 🔍 정의 및 개념광물섬유는 규산염, 유리, 세라믹 등 무기물 원료를 바탕으로 한 산업용 섬유입니다. 일반적으로 실 형태보다는 보드·매트·블랭킷 등으로 제작되며, 주로 고온 내열성, 불연성, 전기·열 절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주요 광물섬유 종류 및 특징 1. 석면 (Asbestos)원료: 천연 규산염 광물의 일종특징: 뛰어난 내열성, 불연성, 절연성역사적·현재 사용: 과거 건축 내장재·방열복 등에 널리 사용문제점: 미세 섬유 흡입 시 폐암·중피종 등 치명적 질환 유발 → 현재는 많은 국가에서 사용 금지 2. 유리섬유 (Glass Fiber)원료: ‘E-글라스’ 중심, 규산염 기반 제조 방식: 모래와 폐유리 녹여 섬유처럼 뽑아냄 특징: 인장강도·절연성 우수, 가벼움.. 2025. 7. 16.
섬유의 주요 분류 (2) 📙 3. 합성섬유 (Synthetic Fibers)합성섬유는 석유계 화학물질을 원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섬유입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화학공업과 플라스틱 기술의 발달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의류산업의 혁신을 주도하였고, 현대 의류뿐만 아니라 스포츠, 의료, 산업용 섬유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정의 및 특성원료: 석유 기반의 고분자 화합물 (나프타 → 모노머 → 폴리머)제조: 용융 방사, 습식/건식 방사 등 물리·화학 공정을 통해 실 형태로 생성형태: 필라멘트(연속사), 스테이플(절단사), 섬유보드 형태 등 다양공통적 특징:높은 강도와 내구성형태 안정성 및 주름 방지염색성, 속건성, 방수성 등 기능성 부여 가능대량생산에 유리하며 가격 경쟁력 우수🌐 대표 합성섬유 종류 및 .. 2025. 7. 7.
섬유의 주요 분류 (1) 1. 천연섬유 (Natural Fibers) 천연섬유는 자연계에서 직접 추출되는 섬유로, 화학적 가공 없이 생물학적 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섬유를 말합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섬유 재료이며, 지속가능성과 생분해 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천연섬유는 크게 식물성 섬유(셀룰로오스 기반)와 동물성 섬유(단백질 기반)로 나뉘며, 각각의 기원과 특성, 활용도에 따라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됩니다.🌿 식물성 천연섬유 (Cellulose-based Natural Fibers)정의: 식물의 씨앗, 줄기, 잎 등에서 얻어지는 셀룰로오스 성분 기반 섬유로, 흡습성과 통기성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적습니다.면 (Cotton):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섬유.씨앗에서 자라는 솜털을 채취하여 방적함.부드럽고.. 2025. 7. 7.
섬유 종류 & 역사 (Fiber Types & Their History) 1. 서론: 섬유의 정의섬유(Fiber)란 실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길고 가늘며 유연한 구조를 가진 물질입니다. 이는 천연 혹은 인공 재료로부터 얻어지며, 의류, 산업용 자재, 인테리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됩니다. 2. 섬유의 주요 분류 (Classification of Fibers)섬유는 **기원(원료)**과 제조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천연섬유 (Natural Fibers)(1) 식물성 섬유 (Vegetable Fibers)원료: 식물의 줄기, 씨앗, 잎 등에 포함된 셀룰로오스(cellulose)특징: 흡습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며 피부에 자극이 적음예시:면 (Cotton): 씨앗에서 수확, 가장 대중적인 섬유마 (Linen): 아마식물의 줄기에서 추출, .. 2025. 7. 2.
**주요 원단의 특징 (8) - 표면에 모양이 있는 직물 제8절 표면에 모양이 있는 직물 1. 깅감 (Gingham) 조직 : 평직 소재 : 면, 레이온, 비닐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깅엄 gingham 이라고도 부른다. 염색사와 표백사 또는 색이 다른 염색사를 사용하여 세로 줄무늬라던가 격자 무늬를 나타낸 직물이다. 이러한 직물은 면 깅감에 20'S, 30'S, 40'S와 같은 번호로 표현되는 경위사를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사용하는 실에 따라서 20‘S 깅감, 30'S 강감, 40'S 깅감이라고 한다. 고급 제품의 경우에는 정소면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하고, 실켓트 가공을 통해 부드러운 광택을 부여합니다. 정소면사는 40'S 이상의 세 번수를 사용하여 얇고 부드러운 촉감을 만들어냅니다. 이런 종류의 직물을 제파라고 합니다. - 용도 : 블라우스, 원피스.. 2023. 6. 17.
**주요 원단의 특징 (7) - 표면에 잔털이 있는 원단 제7절 표면에 잔털이 있는 원단 1. 도스킨 조직 : 주자직 소재 : 모, 아크릴 최고급의 방모직물로써 경위사에 메리노 양모의 방모사를 사용하여 통상 5매 경 주자로 제직한다. 8매 주자도 있다. 제직후 강하게 축융한다. 이어서 가볍게 기모를 내고 그 잔털을 한쪽으로 눕혀서 전모하고 더욱이 증기를 쬐면서 강하게 압융 한다. 마무리는 비바 마무리이다. 마무리 제품은 유연하고 광택이 있다. 모직물로써는 중 정도의 무게의 것이다. - 용도 : 예복, 신사복, 제복, 여성 슈트, 오버, 코트의 안감, 운동복 등 2. 맬튼 조직 : 평직, 사문직 소재 : 모, 면, 레이온, 아세테이트, 아크릴, 비닐론 경위사에 태번수의 부드러운 방모사를 사용하고 평직이라던가 사문직으로 제직 한 후 잘 축융하여 직물면의 잔털을 극.. 2023. 6. 16.